대장암의 초기증상 및 대장암 원인, 대장암 자가진단, 대장암 치료와 예방 대비법은?

 

대장암이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위인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하는데요. 다른 암처럼 대장암증상 및 대장암의 초기증상으론 대부분 별다른 자각 증세를 느끼지 못한다고 해요. 

 

대장암의 초기증상 및 대장암 원인, 대장암 자가진단, 대장암 치료와 예방 대비법은?

 

진행암의 경우 약 70% 이상에서 증상을 느낀다고 하는데요. 대장암이 생기는 부위에 따라 대장암증상 및 대장암의 초기증상이 조금 다르다고 해요.

 

 

우측대장암의 경우, 대장의 굵기가 비교적 크고 소화물이 머무는 시간이 좌측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소화장애, 혈변(특히 검은색 변), 복통을 느끼며, 진행해 가면서 전신무기력, 만성 실혈에 의한 빈혈 증상인 어지럼, 빈맥, 숨이 차는 경우가 동반되기도 하고, 체중 감소와 우측 복벽에서 암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한다고 하구요.

 

 

반면 대장이 비교적 가늘고 소화물의 정체가 많은 좌측결장암에서는 배변과 관련된 증상이 빈번하며 혈변(핏덩어리 또는 선혈이 섞인 변), 배변 습관의 변화, 잔변감, 변 굵기의 감소, 점액 변, 복통이 나타나며, 체중 감소를 일으키거나 직장과 마주하고 있는 방광을 누르게 되어 배뇨 불편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해요. 

 

 

대장암은 특히 50세 이상의 고령자, 대장암과 직장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 여성의 경우 생식기 암이 있는 사람, 대장 용종이 있는 사람, 만성 염증성장질환(궤양성대장염, 크론씨병)을 가진 사람에게서 더 잘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해요.

 

 

대장암 원인은?

 대장암 원인으로는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및 비타민 D의 부족, 육체적 활동 부족, 염증성 장질환, 선종성 폴립, 유전적 요인 등이 있는데요. 

 

다시 정리하면 대장암의 원인은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으로 나뉘는데요.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으로는 현대인들에게 흔한 변비가 될 수 있다고 해요. 발암물질 증가는 고지방식, 굽거나 훈제된 고기 섭취, 섬유소섭취 부족 등과 관련이 깊은데요

 

증가된 발암물질이 곧바로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장내에 오랫동안 머물면 대장점막이 발암물질에 노출될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에 변비가 문제가 되는 이유라고 해요. 변비는 식이섬유섭취 부족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바쁜 일과로 인해 배변욕구를 반복적으로 억제한 결과 배변반사가 사라지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대장암 치료법

대장의 용종과 암은 그 크기가 어느정도 커지기 전까지는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데요,. 조기발견하면 100% 가까이 완치되기 때문에 증상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병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는 선별검사가 권장된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대장암검사로는 잠혈검사와 수지검사, 대장에 조영제와 공기를 넣은 후 엑스레이를 이용해 대장의 모습을 확인하는 대장조영술검사가 있구요. 대장내시경검사는 대장암검사에 있어 가장 유용하고 필수적인 검사로 내시경을 통해 직접 병소를 확인하고 조직검사를 시행해 암을 조기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대장암 치료는 병의 진행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되는데요. 대장암 치료방법으로는 수술내시경적 치료,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있다고 해요.

 

 

대장암 치료에선 수술이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치료법인데요 수술 전후 항암 치료를 병행하구요.. 직장암의 경우 방사선 치료를 더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대장암 치료 중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는 생존율을 10% 이상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기는 종양 크기보다 침투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더욱이 임파선 전이 정도가 중요하며, 임파선 전이가 있으면 3기로 분류된다고 해요.


대장암 치료 중 수술 후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정기검사가 매우 중요한데요. 수술 후 3년 동안은 3~4개월에 한번 병원에서 흉부X선검사, 간 CT촬영, 초음파검사, 종양표지자 등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해요. 

 

 

대장암예방법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을 살펴보면은..

 

1. 육류, 계란, 우유제품, 샐러드에 넣는 드레싱, 기름 등의 음식물을 제한하여 지방질의 섭취를 줄이구요
2. 과일, 채소 등과 같이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많이 섭취합니다.
3. 비만이 있는 환자의 경우 체중 조절을 해야 하구요.
4. 금연하고 과음을 피합니다.
5. 그리고 50세 이후에는 정기검진을 꼭 받는 것이 좋다고 해요.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한 식생활로는 평소에 야채를 많이 먹는 등 섬유소를 많이 섭취해야 하는데요. 섬유소는 자체로 발암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며 변비를 예방함으로써 대장점막이 발암물질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줄여 주기 때문이라고 해요. 반대로 지방질이 많은 육류 섭취와 설탕 등 순수한 당류 섭취는 줄여야 하는데요. 

 

 

권장 식품으로는 비타민 A, C, E 가 풍부한 신선한 녹황색 채소와 현미 등 도정하지 않은 곡식 등 섬유질 식품 등이 있구요. 피해야 할 식품으로는 인스턴트식, 조미료, 소금, 훈제식품, 가공육 및 가공식품, 동물성 불포화지방, 고칼로리, 고지방식(총 칼로리 섭취의 30% 이하)이 있다고 해요.

 

 

☞ 대장암자가진단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를 찾아가 대장암 여부에 대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고 해요.

 

1. 배변습관이 변한다

뚜렷한 이유 없이 배변습관이 변했다면 대장암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보통 대변을 보는 횟수가 평소보다 많아지고, 일부 환자에게서는 변비가 생긴다고 해요.

 

2. 피나 점액이 섞인 대변을 본다

대장암으로 인해 혈변을 볼 때는 장에서 출혈이 있다는 의미인데요.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색깔은 검붉은 편이라고 해요.

 

3. 대변을 덜 본 듯한 느낌이 든다

직장에 암이 생기면 대변이 조금만 차도 꽉 찬 느낌이 들어 화장실로 달려가게 되는데요. 그렇지만 막상 대변을 봐도 덜 본 듯하고, 늘 뒤가 묵직하다고 해요.

 

4. 복부 팽만과 복통이 따른다

대장 자체는 통증을 느끼는 감각이 없다고 해요. 하지만 대장에 가스가 많이 차 고무풍선처럼 팽창하면 복부 팽만과 복통이 생기는데요. 주로 우측결장(맹장과 상행결장)에 암이 생겼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해요.

 

5. 변이 가늘어진다

좌측결장(하행결장 S결장)은 우측결장에 비해 가늘고, 변이 더 굳어 장을 통과하기가 힘이 드는데요. 따라서 이곳에 암이 생겼을 경우 장이 막히기 쉽고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요.

 

6. 빈혈이 생기고 체중이 감소한다

우측결장에 암이 생기면 만성적인 출혈이 생기기 쉽고, 이로 인해 빈혈이 나타나구요. 또한 소화가 잘 안 되고 체중과 근력이 감소하기도 한다고 해요.

 

 

우리 몸의 대장조직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는 질병인 대장암의 초기증상 및 대장암 원인, 대장암 자가진단 방법과 더불어 대장암 치료와 예방 대비법에 대한 간단 내용 참고하셨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