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실기 테스트,자주 틀리는 맞춤법,선생님의 직업병,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
한국어 실기 테스트 중 선생님의 직업병과 자주 틀리는 맞춤법, 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선생님의 직업병에서 처럼 단어의 뜻은 알면서도 잘 못 쓴 경우도 있는데요. 선생님의 직업병 속 단어를 따라해보니 선생님의 직업병도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것 같아요
선생님의 직업병에서 처럼 때론 잘 못 쓰고 있는 우리말이지만 세계에서 제일 멋진 언어인 한글을 쓰면서도 이게 올바르게 쓰고 있는 맞춤법인지 아닌지 헷갈릴때가 참 많은데요
해서 오늘은 선생님의 직업병 속 단어처럼 한국어 실기 테스트 중 자주 틀리는 맞춤법,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어 실기 테스트 vs 선생님의 직업병..
선생님의 직업병이라고 하는 카톡 내용인데요. 직업병이란 일상생활에서 직업의식이 투철하게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선생님의 직업병처럼 정말 그러지 않을려고 해도 그렇게 되는 것 같아요^^;;;
선생님의 직업병..^^!!
☞ 한국어 실기 테스트 vs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흔한 맞춤법 지적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흔한 맞춤법 지적 이야기 한 번 볼까요?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흔한 맞춤법 지적
오랫만에가 아니라 오랜만에가
평소에 잘 쓰는 머글꺼냐고는..
먹을 꺼냐고...
술은 마시다...!!
상대방의 화를 돋우는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흔한 맞춤법 지적!!
계속되는 흔한 맞춤법 지적
아무리 친구사이라도 이러면 조금 지치겠죠?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흔한 맞춤법 지적
정~말 옳고 바른 친구는 맞는데..
곁에 있으면 조금 피곤해지는 친구같아요^^;;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흔한 맞춤법 지적!!
☞ 한국어 실기 테스트- 자주 틀리는 맞춤법,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자주 틀리는 맞춤법,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 사례인데요.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 10개 중 자주 틀리는 맞춤법,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이랍니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1위 : 어의없다 → 어이없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2위 : 병이 낳았다 → 병이 나았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3위 : 않하고,않돼,않된다 → 안하고,안돼,안된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4위 : 문안하다 → 무난하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5위 : 오랫만에 → 오랜만에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6위 : 예기를 하다보니 → 얘기를 하다보니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7위 : 금새 바뀌었다 → 금세 바뀌었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8위 : 왠일인지 → 웬일인지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9위 : 몇일,몇 일→ 며칠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10위 : 들어나다→ 드러나다
◎ 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틀리기 쉬운 맞춤법 더 알아 볼까요?
▶ 향기가 베어 (X) / 향기가 배어 (O)
배다 : 냄새가 스며들어 남아 있다.
베다 : 칼등으로 자르거나 가르다.
▶ 깊숙히 (X) / 깊숙이 (O)
깊숙히가 이니구요 깊숙이랍니다.
▶ 덮혀 있어 (X) / 덮여 있어 (O)
혀로 이니고 여가 맞다고 하네요^^
▶ 구렛나루 (X) / 구레나룻 (O)
구렛나루로 알고 있는데 구레나룻이네요~
▶ 병이 다 낳았어 (X) / 병이 다 나았어 (O)
은근 많이 틀리는 단어인데요 낳았다는 건 아이를 낳았다 일때 쓴답니다.
▶ 몇일 (X) / 며칠 (O)
이 것도 많이 틀리는 맞춤법인데요 며칠이 맞답니다.
▶ 오랫만이야 (X) / 오랜만이야 (O)
랫이 아니라 랜이랍니다.. 저도 이것 많이 틀리는데 주의해야 겠네요^^;;
▶ 들어나다 (X) / 드러나다 (O)
어떠한 사실이 밝혀졌다는 뜻이랍니다.
▶ 예기하다 (X) / 얘기하다 (O)
▶ 금새 (X) / 금세 (O)
▶ 않하고 (X) / 안하고 (O)
▶ 어의없어 (X) / 어이없어 (O)
▶ 옷거리 (X) / 옷걸이 (O)
▶ 짭잘하다 (X) / 짭짤하다 (O)
▶ 꺼꾸로 (X) / 거꾸로 (O)
별 의식없이 썼는데.. 잘못 쓴 맞춤법들이 참 많네요ㅠㅠ
☞ 한국어 실기 테스트,선생님의 직업병 처럼 자주 틀리는 맞춤법, 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 100
1. 아기가 책을 꺼꾸로 보고 있다.(꺼꾸로 → 거꾸로) 2. 소가 언덕빼기에서 놀고 있구나.(언덕빼기 → 언덕배기기) 3.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딱다구리 → 딱따구리) 4. 땀에서 짭잘한 맛이 났다.(짭잘한 → 짭짤한) 5. 오늘은 페품을 내는 날이다.(페품 → 폐품) 6. 김건모의 핑게라는 노래가 인기있다.(핑게 → 핑계) 7. 내 작품이 교실 계시판에 붙어있다.(계시판 → 게시판) 8. 5학년 1반으로 가면 국기계양대가 있다.(계양대 → 게양대) 9. 백화점 휴계실에서 만나자.(휴계실 → 휴게실) 10. 성적표를 보니 씁슬한 기분이 들었다.(씁슬한 → 씁쓸한) 11. 나와 내 동생은 연연생으로 태어났다.(연연생 → 연년생) 12. 늠늠한 항도의 남학생들을 보라!(늠늠한 → 늠름한) 13. 귀에 걸면 귀거리, 코에 걸면 코거리.(귀거리, 코거리 → 귀걸이, 코걸이) 14. 입지 않는 옷은 옷거리에 걸어야 한다.(옷거리 → 옷걸이) 15. 여름에는 어름이 많이 팔린다.(어름 → 얼음) 16. 거리가 얼마나 될지 가름해 보았다.(가름해 → 가늠해) 17. 누구 말이 옳은지 가늠해보자.(가늠해보자 → 가름해보자) 18. 천사?손가락이 동쪽을 가르쳤다.(가르쳤다 → 가리켰다) 19. 용기를 가르켜주신 고마운 선생님이 계셨다.(가르켜주신 → 가르쳐주신) 20. 종이가 갈갈이 찢어졌다.(갈갈이 → 갈가리)
21. 내 거름이 몹시 늦어 지각했다.(거름 → 걸음) 22. 구름이 거치자 맑은 하늘이 보였다.(거치자 → 걷히자) 23. 밀양을 걷힌 기차가 부산에 도착했다.(걷힌 → 거친) 24. 형제끼리 총을 겨루었던 6.25의 비극(겨루었던 → 겨누었던) 25. 1반과 2반이 축구로 승부를 겨누었다.(겨누었다 → 겨루었다) 26. 무 깍듯이 나무를 깍았다.(깍듯이, 깍았다 → 깎듯이, 깎았다) 27. 참 깎듯한 존대말을 듣는구나.(깎듯한 → 깍듯한) 28. 조개 껍질을 모아 보자.(껍질을 → 껍데기를) 29. 포도 껍데기는 먹지 마라.(껍데기는 → 껍질은) 30. 낟 : 곡식 낟알 / 낫 : 풀 베는 낫 / 낮 : 밝은 대낮 / 낱 : 낱개 / 모두 '낟'으로 소리 남. 31. 너비 : 폭, 도로의 너비 / 넓이 : 면적, 운동장의 넓이 32. 갑자기 새들이 날라갔다.(날라 → 날아) 33. 이삿짐을 모두 날아라.(날아라 → 날라라) 34. 개가 새끼를 나았다.(나았다 → 낳았다) 35. 병이 다 낳은 할머니를 뵈었다.(낳은 → 나은) 36. 우리는 힘들게 산을 너머 갔다.(너머 → 넘어) 37. 우리의 목적지는 산 넘어에 있다.(넘어 → 너머) 38. 고무줄을 아래로 늘려보았다.(늘려 → 늘여) 39. 돈을 한 푼 두 푼 늘여나갔다.(늘여 → 늘려) 40. 어머니께서 옷을 달이고 계시다.(달이고 → 다리고)
41. 어머니께서 약을 다리고 계시다.(다리고 → 달이고) 42. 줄을 힘껏 댕기다.(댕기다 → 당기다) 43. 아궁이에 불을 당겼다.(당겼다 → 댕겼다) 44. 나는 넓은 대로 나가 살고 싶다.(넓은 대로 → 넓은 데로) 45. 나는 들은 데로 말하고 있다.(들은 데로 → 들은 대로) 46. 그 책은 내가 읽든 책이고, 그 밥도 내가 먹든 것이다.(읽든, 먹든 → -던,) 47. 먹던 말던 네 마음대로 해라.(먹던, 말던 → -든) 48. 얼마나 놀랐든지 땀이 흠뻑 났다.(놀랐든지 → 놀랐던지) 49 가던지 말던지 네 마음대로 해라.(가던지 말던지 → -든지) 50. 나의 1학기를 뒤돌아보니 반성할 게 많다.(뒤돌아보니 → 되--) 51. 반장이 줄이 바른가 되돌아보았다.(되돌아보았다 → 뒤--) 52. 이불이 두텁다.(두텁다 → 두껍다) 53. 우리의 우정이 두껍다.(두껍다 → 두텁다) 54. 화장실 문을 두들기지 마라(두들기지 → 두드리지) 55. 개를 두드려 패는 것은 몹쓸 짓이다.(두드려 → 두들겨) 56. 나의 마음을 들어낼 수밖에 없었다.(들어낼 → 드러낼) 57. 사물함에서 책을 모두 드러냈다.(드러냈다. → 들어--) 58. 학원 가는 길에 우리 집에 들렸다 가자.(들렸다 → 들렀다) 59. 엄마의 공부하라는 등살에 괴롭다.(등살 → 등쌀) 60. 남의 눈에 뜨이지 않게 놀러 갔다.(뜨이지 → 띄지)
61. 역사적 사명을 띄고 태어난 가은이와 은우.(띄고 → 띠고) 62. 용돈이라야 1000원이 안된다.(용돈이라야 → --이래야) 63. 5학년이래야 이 문제를 풀 수 있다.(5학년이래야 → --이라야) 64. 항도 어린이로써 자부심을 갖자.(어린이로써 → --로서) 65. 죽음으로서 나라를 지킨 이순신 장군.(죽음으로서 → --로써) 66. 오늘 일을 모두 맞혔다.(맞혔다 → 마쳤다) 67. 문제를 모두 마추었다.(마추었다 → 맞추었다, 맞혔다.) 68. 저 물건들 중 내 모가지는 얼마나 될까?(모가지 → 모가치) 69. 닭의 모가치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모가치 → 모가지) 70. 나물을 맛있게 묻힌다.(묻힌다. → 무친다) 71. 땅에 무친 보물을 찾아라(무친 → 묻힌) 72. 독립 운동에 목숨을 받친 이육사 선생님.(받친 → 바친) 73. 우산을 바치고 겨우 소나기를 피했다.(바치고 → 받치고) 74. 자동차에 바치고도 살아 남았다.(바치고도 → 받히고도) 75. 가은이는 두 살박이다.(두 살박이 → 두 살바기) 76. 우리집 개는 점배기다.(점배기 → 점박이) 77. 내년에는 우리가 반듯이 우승하고 말겠다.(반듯이 → 반드시) 78. 그 아이는 코가 반드시 생겼다.(반드시 → 반듯이) 79. 그 녀석의 거짓말이 발개지고 말았다.(발개지고 → 발가지고) 80. 그 녀석은 부끄러워 발가지고 있었다.(발가지고 → 발개지고)
81. 고양이가 새끼를 베어 있었다.(베어 → 배어) 82. 낫으로 나무를 배고 있었다. (배고 → 베고) 83. 베개를 왜 배지 않고 자니? (배지 → 베지) 84. 다리를 힘껏 벌이고 있어라.(벌이고 → 벌리고) 85. 너는 쓸데없이 일을 많이 벌린다.(벌린다 → 벌인다) 86. 베개를 비고 누우니 편하구나.(비고 → 베고) 87. 꽃봉우리가 탐스럽다.(꽃봉우리 → 꽃봉오리) 88. 저 산봉오리를 넘어 가면 소풍 장소가 나온다.(산봉오리 → 산봉우리) 89. 방금 선생님께 편지를 붙이고 왔다.(붙이고 → 부치고) 90. 선생님께서 '학예회에 붙이는 글'을 읽어셨다.(붙이는 → 부치는) 91. 불우이웃을 돕자는 의견이 회의에 붙혀졌다.(붙혀졌다 → 부쳐졌다) 92. 우표를 봉투에 부쳤다.(부쳤다 → 붙혔다.) 93. 미화부가 그림을 게시판에 부친다.(부친다 → 붙인다) 94. 싸움을 부치는 것은 비겁하다.(부치는 → 붙이는) 95. 종이에 불을 부친다.(부친다 → 붙인다) 96. 나는 요즘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부치고 있다.(부치고 → 붙이고) 97. 잘 때 물을 많이 먹어 몸이 불고 말았다.(불고 → 붇고) 98. 채송화가 비스름하게 피어 있다.(비스름하게 → 비스듬하게) 99. 나와 동생은 생김새가 비스름하다.(비스름하다 : 거의 비슷하다) 100. 우리집 골목길은 비뚜로하게 나 있다.(비뚜로 : 비뚤어지게)
☞ 선생님의 직업병 vs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글로벌한 시대라 우리 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이 참 많아졌죠? 매력에 빠져 오랫동안 계시는 분들도 주위에 많이 보이는데요.. 하지만 쉬운것 같으면서도 아직까지 어려운 것이 한글이라고 하는데요 .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에는 어떤 말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할께요^^
1.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말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에는 말이라는 단어가 있는데요.짧게 발음하는 말은 타는 말이고 길게 발음하는 말은 우리가 대화할 때 표현인 말이랍니다.
말 : 말과의 포유류
말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기호
2.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눈
눈 : 대기중의 수증기가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의 결정체
눈 : 빛의 자극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는 감각 기관
3.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배
배 : 배나무의 열매
배:사람이나 동물의 몸에서 위장, 창자, 콩팥 따위의 내장이 들어 있는 곳으로 가슴과 엉덩이 사이의 부위
4.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가구
가구 : 집안 살림에 쓰는 가구
가구 : 집안 식구
5.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운명
운명 : 사람의 목숨이 끊어짐
운명 : 그것에 의하여 이미 정해져 있는 목숨이나 처지
6.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소화
소화 : 불을 끔 또는 불에 태우거나 사름
소화 : 섭취한 음식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변화시키는 일
7.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사과
사과 : 사과나무의 열매
사과 :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빎
8.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 - 다리
다리 : 물을 건너거나 또는 한편의 높은 곳에서 다른편의 높은 곳으로 건너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시설물
다리 : 사람이나 동물의 몸통 아래에 붙어 있는 신체의 부분
이상.. 한국어 실기 테스트 중 자주 틀리는 맞춤법,선생님의 직업병, 틀리기 쉬운 맞춤법,틀리기 쉬운 우리말에 대해 알아보았답니다.
요즘 언어에 대한 지적들이 많이 나오고 바르지 못한 사용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훌륭한 문화유산인 한글의 본 뜻을 이어.. 바르고 고운말,정확한 맞춤법 사용을 생활화 해야겠어요!!